240519(주) 탄식(롬 8:22-27) | 이기형 목사 | 2024-05-19 | |||
|
|||||
[성경본문] 로마서8:22-27절 개역개정22.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23.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24. 우리가 소망으로 구원을 얻었으매 보이는 소망이 소망이 아니니 보는 것을 누가 바라리요 25. 만일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바라면 참음으로 기다릴지니라 26.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27.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 탄식(행 9:36-42)
오늘은 교회 절기로 보면 성령강림절이다. 오순절 성령강림으로 교회가 시작되었으니, 성령강림주일은 신약교회의 설립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성도들도 성령의 강림하심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믿을 수 있게 되었고, 성도들 안에 내주하셔서 능력과 권능을 주시고 거룩한 삶을 살도록 인도하시며 열매맺게 하신다. 우리 교회도, 여러분들도 성령과 동행하시고 성령으로 충만한 삶을 살아가시기를 축복한다. 오늘은 성령의 또 다른 사역에 대해 말씀 나누려고 한다. 여러분은 지난 한 주간 지내오면서, 혹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감탄이 많았는가, 탄식이 많았는가? 누구나 탄식보다는 감탄하는 삶을 원한다. 그러나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그럴 수가 없다. 세상에 과학 기술이 발달하고 경제력이 높아진다해도, 감탄이 아니라 개탄과 비탄하는 탄식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오늘 우리가 읽은 본문에는 세 번의 탄식이 나오고 있다. 1. 피조물의 탄식 롬 8:22.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22절을 보면 바울은 모든 피조물의 탄식을 듣고 있다. 본래 피조물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지어졌고, 하나님의 솜씨를 감탄하였다. 인간은 그 창조 세계를 관리하고 보전할 사명을 부여 받았다. 그런데 인간이 타락함으로 피조 세계에도 저주가 임했다. 인간의 탐욕은 피조세계를 보전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하고 착취하기 시작했고, 피조세계는 환경 오염으로 온난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해마다 최악의 산불, 역대 최고의 홍수라고 기록 갱신을 하기에 이제 무덤덤해진거 같다. 홍수라 하지만 사실은 지구의 눈물이고, 산불이라 하지만 지구의 분노가 아니겠는가? 인류는 더 많은 것을 얻어서 편하게 살고자 하지만 사실은 자기의 삶의 터전을 허무는 어리석은 자들이다. 피조물들이 허무한데 굴복하고 썩어짐에 종노릇하기에 탄식하고 고통으로 호소하고 있는데, 여러분들에게는 그 신음 소리가 들리는가? 창조세계와 질서를 보존할 사명을 가진 우리에게 피조물의 아픔과 고통의 탄식을 들을 수 있는 예민함을 가지고 편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바르게 살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 2. 성도들의 탄식 그렇게 탄식하는 피조 세계 속에 살아가는 인간들은 행복할까? 본문은 성령으로 인해 중생한 그리스도인들까지도 속으로 탄식하며 몸의 구원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씀한다. 우리가 이미 임한 하나님의 나라에 살고 있지만, 아직 임하지 않은 완전한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속으로 탄식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육체적으로 연약하여 죄와 정욕과 사망의 권세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존재라는 사실에 대하여 탄식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는 앞서 로마서 7장에서 사도 바울의 탄식을 들을 수 있었다. 자기가 원하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원치 않는 악을 행하는 모순을 보았기 때문이다. 때때로 죄의 법이 자신을 사로잡고 있는 것을 보면서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라고 탄식하고 있다. 사도 바울 뿐 아니라 오늘 우리 안에서도 그런 갈등이 일어나고 있지 않는가? 치열한 전쟁터가 되어 때로 심령이 피폐해지고 ‘나 같은 사람이 하나님의 자녀라고 할 수 있나?’싶을만큼 좌절과 절망이 떨어지기도 한다. 그렇다. 그렇게 탄식할 수 있다면 소망이 있다. 내가 그렇게 보잘 것 없고 별 볼일 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면, 자기에 대해 철저하게 좌절하고 절망한다면, 차라리 그에게는 기회가 있다. 회복의 첫 걸음이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 갈등으로 탄식하는 것이 아니라 그럴 수 있다고,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게 살아간다고 합리화하고 문제의식을 갖지 못한다. 죄에 민감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는 제법 괜찮은 사람이라고, 그래도 세리보다는 낫다고 바리새인처럼 자기 의를 내세운다. 자신에 대해 철저하게 절망할 수 있다면, 곧 자신에게서 아무 것도 기대할 것이 없다면, 우리는 내가 아니라 하나님과 그의 나라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3. 성령의 탄식 탄식해야 하는데 탄식하지 못하기에 누가 탄식하는가?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께서 탄식하신다. 26.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는 분이 계시는데, 바로 성령님이시다. 여기 돕는다는 말은 자신이 주체가 되어 함께 짐을 지는 것을 의미한다. 떠맡는다는 말이 더 맞겠다. 그럼 왜 성령께서 도우시는가? 그것은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말이다. 그래서 성령께서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해 친히 간구하신다. 바울은 모든 피조물이 고통 가운데 탄식하고 있고, 하나님의 자녀들도 탄식하고 있다고 하였다. 더 나아가 성령께서 탄식하신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 안에서 탄식하시는 성령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민감성이 있으면 좋겠다. 혹시 나를 위해 눈물로 기도하시던 부모님의 탄식의 기도를 들어보신 적이 있는가? 나를 위해 기도하는 누군가의 간절한 절규를 들어보신 적이 있는가? 어떤 생각이 드셨는가? ‘내가 이렇게 살면 안되지, 그 기도 응답이 되어야지’ 그런 생각이 들지 않던가.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의 탄식도 마찬가지이다. 우리의 탄식은 좌절과 절망의 한숨이지만, 성령의 탄식은 하나님을 향한 간구이다. 성령께서 우리의 모습을 보시면서 안타깝게 탄식하지만, 죄악 속에 쓰러지고 넘어지는 우리의 모습에 함께 아파하며 탄식하시지만, 그 탄식은 포기가 아니라 하나님께 내어 맡기는 탄식이다. 내가 어떻게 구할지 무엇을 구할지 몰라서 탄식하고 절망하고 있을 때에,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며 내 안에서 함께 탄식하시며 간구하시는 성령의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면 좋겠다. 비록 나 스스로에게 절망하고 탄식할 수 밖에 없는 보잘 것 없는 믿음이라 할지라도, 그런 나를 포기하지 않고 함께 탄식하면서 하나님께 간구하시는 성령께서 내 안에 계시기에 나는 소망이 있고 나는 거룩을 이루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우리는 탄식하지만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께서 우리를 위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하나님의 뜻대로 간구하심을 믿으시고, 그렇게 기도 응답의 삶을 살아가시기를 축복한다. 마무리 탄식할 수 밖에 없는 세상을 살아가기에 피조 세계가 탄식하며 신음하고 있다. 그 탄식을 들을 수 있으면 좋겠고 창조 세계를 보전할 책임있는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길 바란다. 믿음으로 살지 못하는 나 자신의 연약함을 보더라도 탄식할 수 밖에 없을만큼 한심하고 좌절이 된다. 그렇게 허무한 시절 지나가며 깊은 한숨 내쉴 때, 그런 풍경을 보시며 탄식하시는 분이 계신다. 내 안에 계시는 성령께서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나와 함께 하신다. 그 탄식은 포기가 아니라 절망이 아니라 그런 나를 버리지 않고 떠나지 않겠다는 약속이다. 하찮고 보잘 것 없고 별 볼일 없는 나를 통해 그의 나라를 꿈꾸게 하시고 그의 나라를 이루어가시겠다는 성령의 떠맡음이고 책임지심이다. 나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지만, 성령께서는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해 친히 간구하신다. 그것이 우리의 소망이고 믿음이다. 나는 연약하고 부족하지만 그럼에도 내가 믿음 안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이유와 근거이다. 사랑하시는 하늘가족 여러분, 내 안에 계시는 성령의 탄식을 들으신다면, 우리의 삶에 예전과 같아서는 안될 것이다. 성령의 이끄심 따라 믿음으로 순종하며 살아가시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되시기를 축복한다.
|
댓글 0